맨위로가기

진 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 문제는 남조 진나라의 제2대 황제이다. 그는 522년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감했으며, 숙부 진패선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후경의 난을 겪으며 군공을 세웠고, 진나라 건국 후 임천왕에 봉해졌다. 진패선 사후 황위에 올라 백성들의 고통을 덜고 검소한 정치를 펼쳤으며, 북조와의 관계를 안정시키고 군벌을 평정하여 국가를 통일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한자고와의 특별한 관계를 가졌으며, 566년에 4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 (남조) 사람 - 진 선제
    진 선제는 남조 진나라의 황제였으며, 후경의 난 이후 북주와의 협상을 통해 진나라로 돌아와 황제에 즉위하여 내정에 힘쓰고 북제를 공격했으나 북주의 침략으로 영토를 상실하다 582년에 사망했다.
  • 522년 출생 - 클로도알두스
    클로도알두스는 프랑크 왕족 출신으로 삼촌들의 음모로 형제들이 살해당한 후 종교적인 삶을 선택하여 파리의 주교에게 서품을 받고 수도원을 설립했으며, 사후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 522년 출생 - 월광태자
    월광태자는 《삼국사기》에 나오는 대가야의 마지막 왕 도설지왕과 동일 인물로 여겨지며, 해인사 창건에 기여한 인물이다.
진 문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진 문황제 진천
진 문황제 (염립본 필, 보스턴 미술관 소장)
진천(陳蒨)
자화(子華)
묘호세조(世祖)
시호문황제(文皇帝)
능묘영녕릉(永寧陵, 현재 치샤 구, 난징)
재위
재위 기간559년 8월 17일 ~ 566년 5월 31일
연호천가(天嘉): 560년 ~ 566년
천강(天康): 566년
가족 관계
부친진도담
배우자안덕황후
한자고
자녀진 폐제
진백모
진백산
진백고
진백공
진백신
진백인
진백의
진백리
진백지
진백모
풍안공주
부양공주

2. 생애

진패선의 조카이자 형인 진도담의 장남으로, 522년에 태어났다. 자는 자화(子華)이며, 어려서부터 침착하고 영민했으며 담력과 식견이 있었다. 용모와 풍채가 좋고 몸가짐이 단정하여 숙부 진패선의 총애를 받았다.

후경의 난이 일어나자 진천은 일족들을 보호하며 임천으로 피난갔다. 진패선이 후경을 토벌하러 떠난 후, 후경은 진천을 체포하라는 명을 내렸다. 진천은 비수를 품고 후경을 암살하려 했으나, 체포되어 감금되었다. 진패선이 석두성을 포위하자 후경은 여러 차례 진천을 죽이려 했으나, 부하들의 만류로 실행되지 못했다. 진천은 진패선이 석두성에 입성한 후에야 석방될 수 있었다.

554년, 진패선이 광릉을 점령할 때 진천을 선봉으로 삼아 승리했다. 555년 10월, 왕승변의 사위였던 정주자사 두감 등이 정병 5천 명을 이끌고 장성으로 쳐들어오자, 진천은 수백 명의 군사를 모집하여 맞섰다. 장비가 부족하고 사기가 낮았지만, 진천은 태연하게 40일 동안이나 지켜냈고, 결국 두감 등은 후퇴했다. 이 공로로 진천은 선의장군, 회계태수가 되었다. 557년, 임천왕에 책봉되고 시중, 안동장군이 되어 남환을 수비했다.

559년 6월, 진패선이 사망하자 진천은 건강으로 소환되어 황제 옹립을 의논했다. 장태후는 "선제의 여섯 아들이 모두 요절하거나 서위의 포로로 장안에 있으므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겠소."라며 결정을 주저했다. 이에 남예주자사 후안도가 칼을 뽑아 태후를 협박하여 옥새를 바치고 명령을 내리게 했다. 그리하여 진천은 건강 태극전전에서 황제로 즉위했다.

560년, 서위진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진패선의 아들이었던 형왕 진창을 보냈다. 진창은 왕림에게 막혀 안륙까지만 쳐들어왔으나, 왕림이 사라지자 계속 진격하여 양자강을 따라 동진하면서 진천에게 무례한 편지를 보내 황위를 요구했다. 진천은 후안도를 불러 진창에게 황위를 물려줄지 물었으나, 후안도는 반대하며 자신이 직접 진창을 맞이하겠다고 했다. 한 달 후, 진창이 진나라 영토에 들어오자 후안도는 진창을 죽여 양자강에 던져버리고, 건강에 도착해 진창이 발을 헛디뎌 익사했다고 보고했다. 진천은 후안도가 진창을 죽였다는 것을 알면서도 기뻐하며 후안도를 청원공에 봉했다. 대신 죽은 사촌동생이 불쌍했는지 자신의 7남 형양왕 진백신을 양자로 삼았다.

진천은 백성의 고통을 잘 알았으며, 즉위 후에도 검소한 생활을 했다. 사리분별에 능했고 신하들의 간악한 행위를 용납하지 않았다. 재위 중 북주와 평화를 맺고, 왕림을 영주에서 추방하여, 북제의 개입을 물리쳤다. 또한, 각지에 할거하는 주적·유이·진보응 등의 독립 세력을 격파하여, 강남에서의 진의 지배를 확립했다. 그 후 부역의 감면·노비의 해방·검약령의 장려 등, 내정에 힘을 기울여 진의 국력 기반을 굳혔다.

566년 4월, 45세의 나이로 건강 유각전에서 사망하고 6월에 영녕릉에 안장되었다. 진천은 태자 진백종이 유약하여 황제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염려되어 황위를 동생 진욱에게 넘겨주려 했다. 진욱은 거절했고 관료 공환도 반대했다. 결국 진천은 진욱을 후계자로 삼지는 않았지만, 진욱과 공환, 도중거, 원추, 유사지 등에게 진백종을 보좌하게 했다.

진 문제는 한자고라는 미소년과 동성애 관계를 맺었다고 알려져 있다. 원래 선후임 관계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이가 각별해졌고, 황제에 오른 뒤에는 황후로 봉할 생각까지 했다고 한다. 청나라 시절 화신건륭제의 관계와 비슷한데, 한자고 역시 황제의 총애를 입어 고위급으로 승진하여 권력을 휘둘렀다. 진백종 즉위 후 진욱을 제거하려다 역습을 당해 참살되었다.[4]

역사학자 요사련은 그의 ''진서''에서 진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世祖[진 문제]는 어려운 시절에 자랐으며, 백성들의 고통에 대해 많이 알고 있었다. 그는 사물을 관찰력이 뛰어나고 생활 방식이 검소했다. 매일 밤, 그는 하인들에게 침실 문을 열어 긴급 보고서를 가져오도록 하여 검토할 수 있도록 했다. 그는 또한 경비병들에게 교대할 때마다 교대증을 돌계단에 던져 그 소리가 그를 깨울 정도로 크게 만들도록 명령했다.중국어

2. 1. 초기 생애와 양나라 시기 활동

진패선의 형인 진도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자는 자화(子華)이며 어려서부터 침착하고 영민했으며 담력과 식견이 있었다. 숙부를 따라 후경의 난 토벌에 종군하였다. 선성군에서 기기·학중 등이 침입해 오자 이를 쳐서 평정했다.

승성 2년(553년), 신무장군의 지위를 받아 남서주를 맡았다.[1]

승성 3년(554년), 진패선이 북벌하여 광릉을 공격하자 선봉으로 활약했다.[2]

천성 원년(555년), 진패선이 왕승변을 토벌할 때 왕승변의 사위인 두감이 오흥군에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에, 진천은 진패선의 명을 받아 고향인 장성현으로 돌아가 두감의 진공에 대비했다.[3] 진천은 얼마 안 되는 병력으로 두감의 부장인 두태와 대치하여 격퇴에 성공했다.[3] 진패선이 주문육을 파견하여 두감을 치게 하자, 진천은 주문육과 합류했다.[3] 진천은 장군 유징·장원거에게 두감을 공격하게 하여 격파했다.[3] 동양주 자사 장표가 임해군 태수 왕회진을 포위하자 왕회진이 구원을 요청해 오자, 진천은 주문육과 함께 회계로 가서 장표를 공격했다.[3] 장표의 부장 심태가 문을 열고 진천을 맞이했으므로, 진천은 그 병력을 병합하여 장표를 격파했다.[3] 공적으로 인해 사지절·도독회계 등 10군 제군사·선의장군·회계군 태수로 임명되었다.[3] 또한 소수 민족인 산월의 난을 토벌했다.[3]

영정 원년(557년)진패선남진을 건국하자, 임천군왕으로 봉해지고, 시중·안동장군의 지위를 받았다.[4] 주문육과 후안도가 둔구에서 왕림에게 패하자, 진천은 무제의 밑에서 군사를 위임받았다.[4] 곧 병사를 이끌고 남완에 축성했다.[4]

2. 2. 황제 즉위와 통치

진패선후경을 토벌하러 떠난 후, 후경은 진천을 체포하라는 명을 내렸으나, 진천은 비수를 품고 후경을 찔러 죽이려다 감금되었다. 진패선이 석두성을 포위하자 후경은 진천을 죽이려 했으나, 부하들의 만류로 실행되지 못했고 진천은 석방되었다. 554년, 진패선은 광릉 점령 시 진천을 선봉으로 삼아 승리했다. 555년, 왕승변의 사위 두감 등이 정병 5천 명을 이끌고 쳐들어오자 진천은 수백 명의 군사로 40일 동안 지켜 후퇴시켰다. 이 공로로 선의장군, 회계태수가 되었으며, 557년 임천왕에 책봉되고 안동장군이 되어 남환을 수비했다.

559년 6월, 진패선이 사망하자 진천은 건강으로 소환되어 황제 옹립을 의논했다. 장태후는 결정을 못 내렸으나, 남예주자사 후안도가 칼을 뽑아 태후를 협박하여 옥새를 바치고 명령을 내리게 하여 진천이 즉위했다.

560년 서위는 진나라를 치기 위해 진패선의 아들 형왕 진창을 시켜 공격하게 했다. 진창은 왕림에게 막혀 안륙까지만 쳐들어왔으나, 왕림이 사라지자 계속 진격하여 진천에게 황위를 요구했다. 진천은 후안도를 불러 진창에게 황위를 물려줄지 물었으나, 후안도는 반대하며 진창을 맞이하겠다고 했다. 한달 후, 진창이 진나라 영토에 들어오자 후안도는 진창을 죽여 양자강에 던졌고, 진천은 후안도를 청원공에 봉했다.

진천은 백성의 고통을 알았으며 검소한 생활을 했다. 신하들의 간악한 행위를 용납하지 않았다. 566년 4월, 재위 8년 만에 45세의 나이로 사망하고 영녕릉에 안장되었다. 진천은 태자 진백종이 유약하여 황위를 동생 진욱에게 넘겨주려 했으나, 진욱은 거절했고 관료 공환도 반대했다. 결국 진천은 진욱을 후계자로 삼지는 않았지만 진욱 등에게 진백종을 보좌하게 했다.

진패선이 남조 진을 건국하자, 진천은 임천군왕으로 봉해지고, 시중·안동장군의 지위를 받았다. 주문육과 후안도가 둔구에서 왕림에게 패하자, 진천은 무제의 밑에서 군사를 위임받았다. 곧 병사를 이끌고 남완에 축성했다.

559년 6월에 무제가 붕어하자, 장태후의 명에 따라 남완에서 소환되어 즉위했다. 재위 중 북주와 평화를 맺고, 왕림을 영주에서 추방하여, 북제의 개입을 물리쳤다. 또한, 각지에 할거하는 주적·유이·진보응 등의 독립 세력을 격파하여, 강남에서의 진의 지배를 확립했다. 그 후 부역의 감면·노비의 해방·검약령의 장려 등, 내정에 힘을 기울여 진의 국력 기반을 굳혔다.

3. 군사 및 대외 관계

559년 무제가 죽자 북제의 지원을 받던 왕림이 진나라를 공격해왔다. 초반에는 진나라 장군 오명철을 격파하며 기세를 올렸으나, 진 문제가 후전을 보내자 전선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560년 봄, 후전은 왕림을 격파했고, 왕림과 소장은 북제로 도망쳤다.[2]

한편, 북주는 무제 사후 진창(陳昌)을 진나라로 돌려보냈으나, 진창은 왕림의 군대에 막혀 안륙(安陸, 현재의 샤오간, 후베이성)에 머물렀다. 왕림이 패배한 후 진창은 진 문제에게 왕위를 요구하는 듯한 무례한 편지를 보냈고, 이에 진 문제는 후안도와 상의하여 진창을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후안도는 진창을 맞이하는 척하며 살해하고 양쯔강에 유기한 후, 진창이 강에 빠져 죽었다고 거짓 보고했다.[3]

560년 가을, 후전 휘하의 진나라 군대는 후난성 지역에서 북주 및 서량 군대와 교전했으나, 561년북주 장군 하약돈에게 밀리자 영토를 양보하고 평화를 맺었다.[4] 이후 북주와 협상하여 진서와 그의 가족들을 돌려받았다.[4]

3. 1. 군벌 평정과 남조 통일

진 문제는 무제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은 후, 장 황후를 황태후로 존경하고 아내 심묘용 황후를 황후로, 아들 진 백종을 태자로 책봉했다.[1] 그러나 다른 경우라면 황제로 추존되었을 아버지 진도탄(陳道潭)은 황제로 추존하지 않았다.[1] 대신, 자신의 아들 진백모(陳伯茂)를 시흥왕(始興王)으로, 당시 북주의 수도 장안에 있던 진 문제의 형 진서(陳頊)를 안성왕(安成王)으로 봉했다.[1]

559년 겨울, 무제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왕린(王琳)은 북제의 지원을 받아 진나라를 공격했다.[2] 진나라 장군 오명철을 격파하는 등 초반에는 성공했지만, 진 문제가 후전(侯瑱)을 보내자 전선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2] 560년 봄, 후전은 왕린을 격파했고, 왕린과 소장(蕭莊)은 북제로 도망쳤다.[2] 이로써 진나라는 소장의 영토 중 절반을 차지했고, 나머지 절반은 북주가 지원하는 서량에게 넘어갔다.[2]

왕린의 패배 이후, 북주에 있던 진창(陳昌)이 진나라로 돌아오던 중 진 문제에게 왕위를 요구하는 듯한 무례한 편지를 보냈다.[3] 이에 진 문제는 후안두(侯安都)를 불러 상의했고, 후안두는 진창을 제거할 것을 제안했다.[3] 진 문제는 진창을 형양왕(衡陽王)으로 봉하는 척하며, 후안두를 보내 진창을 맞이하게 했다.[3] 그러나 후안두는 진창을 살해하고 양쯔강에 시신을 유기한 후, 진창이 강에 빠져 죽었다고 거짓 보고했다.[3] 진 문제는 후안두에게 청원공(清源公) 작위를 내려 보답했다.[3]

560년 가을, 후전 휘하의 진나라 군대는 후난성 지역에서 북주 및 서량 군대와 교전했으나, 561년북주 장군 하약돈(賀若敦)에게 밀리자 영토를 양보하고 평화를 맺었다.[4] 이후 북주와 협상하여 진서(陳頊)와 그의 가족들을 돌려받았다.[4]

한편, 진 문제는 장시성, 푸젠성, 저장성 등지에 할거하며 명목상으로만 복종하는 군벌 세력들을 진압하고자 했다.[5] 562년 봄, 임천(臨川, 현대의 푸저우, 장시성)의 군벌 주적(周迪)에게 근거지를 옮길 것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오명철과 후안두를 보내 각각 주적과 유이(留異)를 공격하게 했다.[5] 후안두는 유이를 격파했고,[5] 오명철 대신 파견된 진서(陳頊)는 563년 봄 주적을 격파했다.[5] 유이와 주적은 진보영(陳寶應)과 합세하여 저항했으나, 564년 장소달(章昭達)에게 진압되었고, 565년 정령세가 주적을 격파하면서 진나라는 대부분 통일되었다.

566년 여름, 진 문제는 병에 걸려 죽었고, 태자 진백종이 제위를 이었다.

3. 2. 북제, 북주와의 관계

북주진(陳) 문제의 숙부 진창(陳昌)을 진나라로 돌려보냈으나, 진창은 오는 길에 왕림(王琳)의 군대에 의해 막혀 안륙(安陸, 현대의 샤오간, 후베이성)에서 멈춰야 했다.[1] 왕림이 패배한 후, 진창은 여정을 계속했고, 안륙에서 양쯔강으로 가면서 진 문제에게 무례한 편지를 썼는데, 진 문제는 이를 왕위를 요구하는 것으로 받아들였다.[1] 진 문제는 후안도를 소환하여, 아마도 그가 진창에게 왕위를 양보하고 왕의 작위를 받아들여야 하는지 제안했고, 후안두는 그에게 그렇게 하지 말라고 충고하고, 직접 진창을 "맞이"하겠다고 제안했다.[1] 한편, 관리들은 모두 진창을 황실 왕자로 책봉할 것을 제안했고, 진 문제는 진창을 형양왕(衡陽王)으로 봉할 것을 선언했다.[1] 한 달 후, 진창은 진나라 영토에 들어와 후안두를 만났으나, 그들이 양쯔강을 따라 여행하는 동안, 후안두는 그를 살해하고 그의 시체를 양쯔강에 던졌고, 그런 다음 건강(建康)으로 돌아와 진창이 강에 빠졌다고 주장했다.[1]

560년 가을, 후전 휘하의 진나라 군대는 현대의 후난성 지역에서 북주와 서량 군대와 교전을 시작했는데, 서량은 소장이 북제로 도망치면서 그에게서 빼앗은 지역이었다.[1] 군대는 교착 상태에 빠졌고, 561년 봄, 북주 장군 하약돈을 이길 수 없게 되자, 후전은 영토를 양보하면 하약돈이 군대와 함께 철수할 수 있도록 제안했고, 하약돈이 동의했고, 그 영토는 진나라의 소유가 되었다.[1] 평화를 추구하면서, 북주는 진서를 진나라로 돌려줄 것을 제안했고, 진 문제는 기뻐하며 진서의 석방을 위해 여산(현대의 우한, 후베이성)을 교환할 것을 제안했다.[1] 진서는 562년에 진나라로 돌아와 진 문제의 행정에서 핵심적인 관료가 되었고, 처음에는 북주가 진서의 아내 유경연 황후와 아들 진숙보를 계속 억류했지만, 추가 협상 끝에 북주는 그들 또한 석방했다.[1]

4. 한자고와의 관계

진 문제는 숙부 진패선에게 사랑받던 인물로, 후경의 난 때 포로가 되었다가 풀려난 후 진패선을 도와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진패선이 죽은 후 황제 자리에 올랐으며, 사촌 동생 진창이 황위를 요구하며 쳐들어왔을 때 이를 막아낸 후안도를 칭찬하고 사촌 동생을 위해 아들 진백신을 양자로 삼았다.

진 문제는 16세의 미소년 한자고와 동성애 관계를 맺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 진 문제는 한자고를 총애하여 개인 비서로 삼았고, 이후 장군으로 임명하는 등 파격적인 승진을 시켜주었다. 한자고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보여주며 진나라 최고의 장군 중 한 명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진 문제는 한자고를 황후로 삼으려고까지 했다고 한다.

진 문제는 병에 걸렸을 때 한자고의 간호를 받았으며, 566년 사망할 때까지 한자고가 곁을 지켰다.[4] 진 문제가 죽은 후, 한자고는 진나라의 권력을 잡기 위해 음모를 꾸몄지만 발각되어 자결을 강요받았다.[4]

5. 가계

진 문제는 522년 시흥소열왕(始興昭烈王) 진도담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알려져 있지 않다. 진패선의 조카이다. 자는 자화(子華)이며, 침착하고 영민하며 담력과 식견이 있었다.[6] 후경의 난 때 진패선이 후경을 토벌하러 떠나자, 진천은 후경에게 자수하여 감금되었으나 진패선이 석두성에 입성한 후 석방되었다.[6]

진패선554년 광릉 점령 당시 진천을 선봉으로 삼아 승리하였고, 557년 진천을 임천왕에 책봉하였다. 559년 진패선이 사망하자 진천은 건강으로 소환되어 황제 옹립을 의논했고, 남예주자사 후안도의 도움으로 황제로 즉위했다.[6]

진 문제는 한자고라는 미소년과 동성애 관계를 맺었으며, 황후로 봉하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6]

진 문제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
조부태조(太祖) 경황제(景皇帝) 진문찬
조모경문황후(景文皇后) 동씨(童氏)
부친시흥소열왕(始興昭烈王) 진도담
모친효비(孝妃)
양부고조(高祖) 무황제(武皇帝) 진패선
양모무선황후(武宣皇后) 장요아(章要兒)


5. 1. 조부모와 부모

구분이름
조부태조(太祖) 경황제(景皇帝) 진문찬
조모경문황후(景文皇后) 동씨(童氏)
부친시흥소열왕(始興昭烈王) 진도담
모친효비(孝妃)


5. 2. 양부모


  • '''양부''' : 고조(高祖) 무황제(武皇帝) 진패선
  • '''양모''' : 무선황후(武宣皇后) 장요아(章要兒)

5. 3. 황후

559년부터 566년까지 재위한 황후는 문황후 심묘용이다.[5]

봉호시호이름(성씨)재위년도비고
황후(皇后)문황후(文皇后)심묘용(沈妙容)[5]559년 ~ 566년


5. 4. 후궁

봉호이름(성씨)생몰년도비고
귀비(貴妃)강씨(江氏)
귀비(貴妃)공씨(孔氏)
숙원(淑媛)엄씨(嚴氏)? ~ 587년
소화(昭華)유씨(劉氏)
수용(修容)장씨(張氏)
수화(修華)한씨(韓氏)
용화(容華)반씨(潘氏)
충화(充華)왕씨(王氏)


5. 5. 황자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별칭비고
1파양왕(鄱陽王)진백산(陳伯山)550년 ~ 589년숙원 엄씨
2시흥왕(始興王)진백무(陳伯茂)551년 ~ 568년황후 심묘용
3황태자(皇太子)진백종(陳伯宗)554년 ~ 570년황후 심묘용제3대 황제 폐제(廢帝).
4신안왕(新安王)진백고(陳伯固)555년 ~ 582년용화 반씨
5진안왕(晉安王)진백공(陳伯恭)숙원 엄씨
6형양왕(衡陽王)진백신(陳伯信)? ~ 589년소화 유씨[6]
7여릉왕(廬陵王)진백인(陳伯仁)충화 왕씨
8강하왕(江夏王)진백의(陳伯義)? ~ 589년수용 장씨
9무릉왕(武陵王)진백례(陳伯禮)수화 한씨
10영양왕(永陽王)진백지(陳伯智)귀비 강씨
11계양왕(桂陽王)진백모(陳伯謀)귀비 공씨



진문제는 슬하에 총 11명의 아들을 두었다. 이 중 장남 진백종은 황태자가 되었으나 폐위되었고, 차남 진백무는 시흥왕에 봉해졌다. 나머지 아들들은 모두 왕에 봉해졌다.

5. 6. 황녀

진 문제는 슬하에 풍안공주와 부양공주를 두었다.

봉호이름부마
1풍안공주(豊安公主)유정신(劉貞臣)
2부양공주(富陽公主)유반(柳盼)
후정장(侯淨藏)


6. 연호

문제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
서력
(西曆)
560년561년562년563년564년565년566년
간지
(干支)
경진(庚辰)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갑신(甲申)을유(乙酉)병술(丙戌)
연호
(年號)
천가(天嘉) 원년2년3년4년5년6년천강(天康) 원년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Zizhi Tongjian
[3] 서적 新唐書·宰相世系表
[4] 웹사이트 Book of Chen·Volume 20·Biography No.14 https://zh.wikisourc[...]
[5] 문서 임천왕비(臨川王妃)/황태후(皇太后)/안덕태후(安德太后)/황수문황후(皇嫂文皇后)/안덕황후(安德皇后)
[6] 문서 형양헌왕(衡陽獻王) 진창(陳昌)의 양자로 입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